728x90
1. 자료형의 개요
- 자료형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사용하는 숫자, 문자열 등의 다양한 데이터 형태를 식별하는 분류
- 프로그램의 가장 기본이자 핵심적인 단위
- 자료형은 변수를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에 알려주기 위한 변수의 속성
- 데이터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작업과 저장할 수 있는 값 유형 정의
- 자료형을 충분히 이해하지 않고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것은 기초 공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물을 짓는 것과 같음
2. 정수 자료형
- 정수형은 소수 부분이 없고 음숫값을 허용하는 숫자
- byte, short, int, long 등 네 가지 유형이 있음
- 정수형의 유형에 따라 차지하는 저장 공간과 나타낼 수 있는 정수의 범위는 표와 같음
byte
- 가장 작은 정수형으로 최솟값이 -128, 최댓값은 127
- 메모리 절약이 중요한 대용량 배열에서 메모리를 절약하는 데 유용
- byte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는데, 다음은 byte 변수 b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byte b = 100;
short
- 부호가 있는 16비트 정수형으로 최솟값 -32,768, 최댓값 32,767
- byte 자료형과 마찬가지로 메모리 절약이 중요한 경우에 short 자료형을 사용하여 대용량 배열의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음
- 다음은 short 변수 s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short s = 123;
int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nt 자료형은 부호가 있는 32비트 정수형으로 최솟값 -2,147,483,648, 최댓값 -2,147,483,647
- int 자료형은 루프를 제어하고 배열을 인덱싱하는 데 주로 사용
-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숫자로 int 자료형도 충분히 크지만, 더 넓은 범위의 값이 필요할 때는 int 대신 long 사용
- 다음은 int 변수 in과 in2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int in = 123546;
int in2 = -9876345;
long
- 부호가 있는 64비트 정수형으로 최솟값 -9,223,372,036,854,775,808, 최댓값 9,223,372,036,854,775,807
- 원하는 값을 지정하는 데 int 자료형이 충분히 크지 않은 경우 사용하는 long 자료형은 많은 양을 계산하고 저장해야 하는 은행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할 수 있음
- 다음은 long 변수 l을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long l = 1234567891L;
// int, short, byte, long 자료형으로 선언된 변수 a, s, b, l을 해당 값으로 초기화해봅니다
// long 자료형은 변수의 초기화 정수 끝에 l 또는 L을 붙임
public class Datatype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 = 10;
short s = 2;
byte b = 6;
long l = 125362133223L;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s);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l);
}
}
3. 실수 자료형
- 실수형은 소수 부분이 있고 음숫값을 허용하는 숫자
- float, double 등 두 가지 유형 있음
float
- 실수라고도 하는 부동 소수점 숫자
- 이자율이나 제곱근 계산과 같이 분수의 정밀도가 필요한 표현식에 사용
- 연산 속도를 향상하고 메모리를 절약해야 하는 경우에 double 대신 float 자료형을 사용
- float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할 때 초기화 값의 끝에 'f'를 붙여야 함
- 다음은 float 변수 pi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float pi = 12.25f;
double
- 64비트 부동 소숫점 숫자로 sin(), cos(), sqrt()와 같은 수학 계산에 사용
- double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할 때는 초기화 값의 끝에 'd'를 붙이거나 생략 가능
- 다음은 double 변수 d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double d = 12345.234d;
// float 자료형으로 선언된 변수 f와 double 자료형으로 선언된 변수 d를 해당 값으로 초기화 해봅시다.
// float 자료형은 변수에 저장하는 실숫값 끝에 반드시 f를 붙여야 하고, double 자료형은 변수에 저장하는
// 실숫값 끝의 d를 생략해도 됨
public class Datatype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float f = 65.20298f;
double d = 876.765d;
System.out.println(f);
System.out.println(d);
}
}
4. 문자 자료형
- char 자료형은 문자와 숫자 등 문자 집합의 기호를 나타내는 데 사용
- 작은따옴표로 값을 묶어 표현
- char 변수 ch1, ch2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예
- ch1은 정수로 초기화되어 있지만 x를 출력하는 문자 상수
char ch1 = 88;
char ch2 = 'Y';
// char 자료형으로 선언된 변수 ch1, ch2, ch3, ch4를 문자로 초기화
public class Datatype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har ch = 'J';
char ch2 = 'A';
char ch3 = 'V';
char ch4 = 'A';
System.out.println(ch);
System.out.println(ch2);
System.out.println(ch3);
System.out.println(ch4);
}
}
5. 문자열 자료형
- string 자료형은 문자열을 저장하는 데 사용
- 문자열은 일련의 문자
- 큰따옴표로 묶인 값은 모두 문자열
- 언급한 자료형과 달리 String 자료형은 클래스에 해당하므로 대문자로 시작
public class Datatype04{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str = "java";
String str2 = "program";
System.out.println(str);
System.out.println(str2);
}
}
6. 불리언 자료형
- boolean 자료형의 값은 true, false 두 가지
- boolean 자료형은 if 또는 while 과 같은 제어문을 제어하는 조건식에 사용
- 다음 boolean 변수 flag와 val을 선언하고 각각 true, false로 초기화하는 예
boolean flag = true;
boolean val = false;
public class Datatype05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boolean t = true;
boolean f = false;
System.out.println(t);
System.out.println(f);
}
}
공부한 책 : 한빛아카데미 - 자바 마스터
'Back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출력 처리 (0) | 2024.04.11 |
---|---|
[JAVA] 변수 (0) | 2024.04.11 |
[JAVA] 자바 프로그램 기본 구조 (0) | 2024.04.11 |
[JAVA] 자바 구성 요소 (0) | 2024.04.11 |
[JAVA] 자바 언어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