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Java

[JAVA] 변수

ddo04 2024. 4. 11. 15:24
728x90
1. 변수의 개수

실생활 속 변수의 개념

  • 지정된 변수 안의 값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
  • 바로 변수의 기본 개념

프로그래밍 속 변수의 개념

  • 변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처리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위치
  • 자바 프로그램의 경우 데이터를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데,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주소가 복잡하기 때문에 메모리 주소 대신 메모리 주소의 이름 지정
  • 메모리 주소의 이름, 메모리 위치의 이름을 변수라고 하며, 저장된 값은 변경 가능
  • 변수는 특정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 위치
  • 변수는 이름과 자료형을 가지고 있으며, 자료형에 따른 값이 저장

 

2. 변수 선언과 초기화

변수 선언과 기본 형식

  • 자바 프로그램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변수를 선언해야 함
  • 변수 선언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음
자료형 변수명;
int myVar;

- 자료형(data type) :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유형

- 변수형(variable name) : 메모리 주소를 대신하는 메모리 주소의 이름 지정

  • 변수를 선언할 때 메모리 위치에만 이름을 지정할 수 있고, 메모리 위치에 값을 지정하려면 변수를 초기화하거나 값을 입력받아 할당해야 함
  •  정수형 변수 time과 speed를 선언하는 예
int time;
int time, speed; // 변수의 자룟형이 동일한 경우

변수의 초기화

  • 변수 선언으로 메모리 위치에 이름을 지정했다면, 변수 초기화는 지정된 메모리 위치에 값을 입력하는 것
  • 변수 초기화는 변수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하는 것
  •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료형 변수명 = 값;
int myVar = 20;
  • 정수형 변수 time과 speed를 선언하는 동시에 20으로 초기화하는 예
int time = 20;
int time = 20, speed = 20; // 변수의 자료형이 동일한 경우
  • 변수는 값을 담는 상자에 비유할 수 있음
  •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 위치에 변수명으로 이름이 지정되고, 공간에 값을 넣을 수 있음

변수명 생성 규칙

  • 자바에서 변수뿐만 아니라 클래스, 메서드 등의 이름을 지을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공통 규칙이 있음
  • 자바에서 변수명을 생성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변수명은 영문자(대,소), 숫자, 밑줄, 달러 기호로만 구성할 수 있음
  2. 변수명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3. 변수명에는 공백을 포함할 수 없음
  4. 자바에서 미리 정의된 키워드를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음
// days 변수의 경우 변수명을 선언하는 동시에 초기화할 수 있고, speed 변수의 경우 변수명만 선언하고 
// 나중에 초기화할 수 있음

public class Variable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days = 10;
        System.out.println(days);
        
        int speed;
        speed = 20;
        System.out.println(speed);
	}
}

 

3. 상수
  • 상수는 변수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없고,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함
  • 상수는 final 키워드를 이용하여 선언
public class Example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final int SPEED = 20;
        int count = 10;
        SPEED = 40;
        count = 11;
        System.out.print("상수 SPEED 값은");
        System.out.println(SPEED);
        System.out.print("상수 count 값은");
        System.out.println(count);
	}        
}
  • 상수는 이미 정해진 값으로, 값이 변할 일이 없는 경우에 주로 사용함

 

공부한 책 : 한빛아카데미 - 자바 마스터

 

'Back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출력 처리  (0) 2024.04.11
[JAVA] 자료형  (0) 2024.04.11
[JAVA] 자바 프로그램 기본 구조  (0) 2024.04.11
[JAVA] 자바 구성 요소  (0) 2024.04.11
[JAVA] 자바 언어  (0)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