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 5

[DB] 데이터베이스 설계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웹사이트 개발할 때 데이터베이스를 제외하고 생각하기 어려움 정보시스템이나 웹 사이트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나중에 다시 불러오는 형태로 개발 시스템 개발자들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연동 프로그래밍이 기본적인 지식으로 되어 있음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야 함 데이터베이스 설계란 데이터베이스 안에 어떤 테이블들이 있어야 하고 각 테이블들은 어떤 컬럼이 있어야 하며, 기본키와 외래키는 어떤 것인지를 정하고, 응용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뷰와 인덱스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 현실세계에 대한 분석이 있어야 함 데이터베이스 안에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뿐만 아니라 현실세계에 대한 분석, 논리적 설계, 물리적 설계, 데이..

[DB] SQL 언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장점 중 하나는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언어를 제공한다는 것 사용자는 간단한 SQL문을 사용하여 DBMS에게 작업 요청 가능 기본적인 SQL문들은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에 거의 DBMS 제품에 동일하게 적용 SQL 언어는 비절차적 언어 (non_procedural language)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것만을 명시하며, 원하는 것을 DBMS가 어떻게 처리할지는 명시할 필요가 없음 SQL 언어는 자연어와 비슷한 문법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음 보는 사람도 SQL문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 어렵지 않음 사용자들은 SQL이 다른 언어에 비해 배우기 쉬운 것으로 느낀다 사용자/개발자는 두가지 방식으로 SQL 이용할 수 있음..

[DB] 뷰 (View)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는 데 뻬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뷰 (view)임 뷰는 단어의 뜻 그대로 하나의 테이블, 혹은 여러 테이블에 대해서 특징 사용자나 조직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수단으로서 가상 테이블이라고도 부름 같은 사원에 대한 정보이지만 이렇게 부서별로 필요로 하는 세부항목은 다를 수 있음 과거의 파일 시스템 환경에서는 이런 경우 세 걔의 부서에서 필요한 사원 파일을 각각 생성하여 사용함 그 결과 데이터의 중복성, 불일치와 같은 문제가 발생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를 개인이나 개별 부서 단위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조직 전체의 차원에서 보기 때문에 세 개의 사원 정보를 관리하지 않고 하나의 사원 정보 테이블에 모아서 관리함 사원 테이블이 인사팀, 기획실, ..

[DB] 기본키와 외래키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 중의 하나가 기본키(primary key)와 외래키(foreign key)이다. DBMS를 구현해야 하는 입장에서 보면 중복된 튜플이 삽입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님 1번 튜플이 삽입되는 경우는 이미 존재하는 모든 튜플에 대해 모든 컬럼이 같은지를 일일이 검사해보면 중복 여부를 알 수 있지만, 튜플 수가 수십만 개에 달하는 경우는 비교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이 아님 2번 튜플의 경우는 의미적 중복이지만 데이터의 의미를 이해할 수 없는 DBMS로서는 2번 튜플이 의미적으로 중복인지를 알아낼 방법이 없음 후보키 (candidate key)란 테이블에서 각 튜플을 구별하는 데 기준이 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컬럼들의 집합 <..

[DB]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다수의 사용자들이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데이터베이스 개념을 제안파일 형태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 정보들을 하나로 모아 관리하자는 것응용프로그램들이 운영체제를 통해 시스템 자원을 이용하는 것처럼 모아놓은 데이터를 관리하고 사용자와 데이터 사이에 인터페이스 역할이 가능한 S/W를 만들자는 것모아놓은 데이터의 집합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데이터를 관리하는 S/W를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해서 데이터나 정보를 처리하는 체제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atabase system), 파일 시스템에 대응되는 개념1963년 6월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