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JavaScript

[JavaScript] JS 데이터 타입

ddo04 2024. 7. 3. 02:21
728x90

⏱️  원시 데이터 타입

  • 객체가 아니면서 메서드도 가지지 않는 데이터
  • string, number, bigint, boolean, undefined, null, symbol

⏱️  숫자 데이터 타입

  • 정수와 부동소수점 숫자를 나타내는 타입
  • typeof (타입오브) 라는 데이터 타입을 알려주는 연산자를 사용
const number = 123;
console.log(typeof number);
  • bigint (빅인트)라는 데이터 타입은 숫자 데이터 타입으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아주 작은 숫자나 큰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타입
  • 별도의 데이터 타입으로 지정됨
  • 빅인트 타입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숫자와 구분하기 위해 숫자를 쓰고 뒤에 소문자 n을 붙이면 됨
const number = 123n;
console.log(typeof number);

⏱️  문자열 데이터 타입

  • string 타입은 따옴표로 감싸진 문자 또는 문자열을 나타낼 수 있음
const name = '이도혜';
console.log(typeof name);
  • 사용할 수 있는 따옴표는 3가지가 있음
  1. 작은 따옴표 (' ')
  2. 큰 따옴표 (" ")
  3. 백틱 (` `) 
const age = 20;
const job = '개발자';

const msg = '저는 '+ job + '이고, '+ age + '살 입니다.'
const msg2 = `저는 ${job}이고, ${age}살 입니다.`;
console.log(msg);
  • 하나만 정해서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음
  • 백틱을 사용하면 기호 안에 한 번에 한 줄로 표현 가능
  • 백틱을 프로그래밍 할 때 굉장히 유용하고 많이 사용

⏱️  boolean 불린 타입

  • 참 또는 거짓 둘 중에 하나만 값으로 가질 수 있는 논리 타입
const isTrue = true;
console.log(typeof isTrue);

⏱️  null 타입

  • 값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

⏱️  underfined 타입

  • 값이 없는게 아닌 값이 아직 지정되지 않았음을 나타냄
  • 우리가 무언가를 선언하였을 때 우리가 아무 값도 넣지 않아도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냄 

⏱️  원시 데이터 타입 vs 참조 데이터 타입

  • 원시 타입의 변수를 생성하면 메모리라는 공간에 해당 변수만을 위한 어떤 공간이 할당됨
  • 그 안에 우리가 저장하고자 하는 값인 원시 타입의 값이 저장되게 됨
  • 원시 타입의 변수는 직접적으로 이 값을 가리키는 형태가 됨
  • 원시 타입 변수가 하나의 값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 참조 타입 데이터는 원시 타입 데이터들의 집합 의미
  • 여러 개의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의 값을 저장하고 변수에는 메모리 주소값만 저장
  • 실제로 변수를 사용할때 주소값을 참조해서 사용하게 됨
  • 배열, 객체, 함수 등이 있음

⏱️  배열

  • 어떤 데이터들의 집합으로 구성
const arr = [1, 2, 3];
console.log(arr);
  • 각각을 쉼표로 구분해주면 됨
  • 연속적으로 우리가 대입한 값이 하나의 배열로 출력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 배열을 나타낼 때 앞에 붙어 있는번호는 인덱스를 나타내는 것
  • 인덱스는 배열의 위치한 순서 번호 (0부터 시작)
  • 인덱스를 사용하여 배열에 있는 특정 위치에 값에만 접근할 수 있음
const arr = [1, 2, 3];
console.log(arr[0]);
  • 배열의 0번 인덱스의 값을 출력하여 나타내줌

⏱️  객체

  • 여러 타입을 가진 데이터들의 집합을 의미
  • 각각의 요소가 키와 값으로 구성
  • 키와 값의 쌍을 프로퍼티라고 부름
const obj = {
	name: '이도혜',
    job: '개발자',
};

console.log(obj);
  • 중괄호 {}로 감싸서 만들 수 있음
  • 프로퍼티라고 부르는 키와 값의 쌍들로 구성

⏱️  점 표기법

  • 객체 이름 뒤에 점을 붙이고 접근하려는 프로퍼티의 키 값을 지정하는 방식
  •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점표기법을 사용 
  • 네임을 지정하고 출력하면 네임키하고 연결된 값이 출력
const obj = {
	name: '이도혜',
    job: '개발자',
};

console.log(obj.name);

⏱️ 대괄호 표기법

  • 객체 이름 뒤에 대괄호를 열어주고 키 값을 문자열로 지정
const obj = {
	name: '이도혜',
    job: '개발자',
};

console.log(obj['name']);console.log(obj,name);

⏱️ 배열과 객체의 중접

  • 외부의 중첩을 시킬 수 있음
const arr = [1,2,3, [4,5]];

console.log(arr);
  • 배열애 배열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객체도 넣을 수 있음
const arr = [1,2,3, {name: '이도혜'}];

console.log(arr);
  • 객체를 넣으면 배열로 구현 가능
  • 객체도 배열이나 객체를 중첩할 수 있음
  • 프로퍼티 값으로 배열이나 객체를 가질 수 있음
  • 프로퍼티가 배열이나 객체가 될 수 있음 
const obj = {
	arr: [1,2,3],
    something: {
    	name: '이도혜',
    },
};

console.log(obj);

'Front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JS 반복문  (0) 2024.07.05
[JavaScript] JS 조건문  (0) 2024.07.04
[JavaScript] JS 연산자  (0) 2024.07.04
[JavaScript] 변수와 상수  (0) 2024.07.02
[JavaScript] JS(자바스크립트)란?  (0) 2024.07.01